1. Physical Layer
Physical Layer
- Actually interacts with the transmission media (실제로 전송매체와 상호작용한다)
- Moves data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signals (데이터를 전자기 신호 형태로 옮긴다)
Data
- To be transmitted, data must be transformed to electromagnetic signals.
(데이터가 전송되기 위해서는 전자기 신호로 변환되어야 한다.)
* 참고 * : 평균전압 = 최대전압 / √2(1.414)
Analog and Digital
- Data can be analog or digital
1) Analog data (아날로그 데이터) : continuous (연속적인 형태, 연속적인 값)
2) Digital data (디지털 데이터) : discrete (불연속적인 형태, 불연속적인 값)
- Signals can be analog or digital
1) Analog signals : an infinite number of values in a range (어떤 범위에서 값이 무한대)
2) Digital signals : only a limited number of values (제한된 개수의 값)
Term
frequency (주파수 Hz - 시간에 대한 변화율) : f = 1/T
높은 주파수 : 짧은 시간동안 많은 변화
낮은 주파수 : 긴 시간동안 적은 변화
period (주기 s): T = 1/f
phase (위상) : 0이라는 시간에 어느 각도에서 시작하는지 표현
wavelenght (파장 = 한 주기 동안 이동한 거리) : c / f (c : light speed = 3 * 10⁸ m/s)
Bandwidth (대역폭, 주파수의 범위 = 가장 높은 주파수 - 가장 낮은 주파수).
Periodic Analog Signals
1) Simple (단순 신호) : sine wave (정현파) - 더 단순한 신호로 분해하는 것은 불가능함
- 주파수가 1개만 있는 sine wave는 data communication에서 유용하게 쓰이지 않음
Units of Period and frequency (주기와 주파수의 단위)
Period | Frequency | ||
Unit | Equivalent | Unit | Equivalent |
Seconds(s) | 1 s | Hertz (Hz) | 1 Hz |
Milliseconds (ms) | 10⁻³ s | Kilohertz (kHz) | 10³ Hz |
Microseconds (µs) | 10⁻⁶ s | Megahertz (MHz) | 10⁶ Hz |
Nanoseconds (ns) | 10⁻⁹ s | Gigaherts (GHz) | 10⁹ Hz |
Picoseconds (ps) | 10^−12 s | Terahertz (THz) | 10^12 Hz |
- sine wave
A : peak amplitude f = 1/T : frequency T = 1/f : period
2) Composite (복합 신호) : 수많은 sine wave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신호.
- periodic (주기) : 예쁜 sine파가 아님, 불연속적인 주파수,
- nonperiodic (주기가 없음) : 연속적인 sine파로 이루어짐, 무한대의 주파수
Time and Frequency Domains (시간과 주파수의 영역)
2. Digital Signals
Digital Signals
- bit rate (비트 전송률) = bps : bits/second
level 2 -> 한번에 1개 (2¹)
level 4 -> 한번에 2개 (2²)
level 8 -> 한번에 3개 (2³)
level 16 -> 한번에 4개 .... (2⁴)
- 0과 무한대 사이에 가지고 있는 아날로그 신호로 볼 수 있다
Baseband transmission (기저 대역 전송)
: 디지털 신호 그대로 전송
1) low-pass channel (저대역 통과 채널) - 낮은 주파수를 잘 통과시켜야한다. (낮은 주파수의 전압이 높으므로)
2) using a dedicate medium (전용 채널 이용)
- 기저 대역 전송은 low-pass channel 일 때 디지털 신호의 모양을 잘 보존 할 수 있다.
- 대역 폭이 넓을 수록 넓은 주파수를 인식 -> 모양 잘 보존 가능
Broadband Transmission - Using Modulation (변조 광대역 전송)
: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해서 전송
1) bandpass channel : 특정 대역을 잘 통과시키는 채널, 상당이 높은 주파수부터 시작 (0부터 시작하지 않음)
이러한 채널은 디지털 신호로 전송 할 수 없으므로 아날로그로 바꾸어서 전송해야한다.
ex. 아파트 전화 통신선, modems (모뎀) - 변조기(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것)
2) Modulation of a Digital Signal
높은 주파수에 놓은 전압을 걸어놓음
Transmission Impairment
- 신호는 전송 매체를 통해 이동하는데 불완전하다. 그래서 전송 장애를 발생시키기도 한다.
1) Attenuation (감쇠)
- loss of energy (에너지의 손실)
- simple, composite 상관없이 모두 발생, 공기 중의 저항에 의한 에너지 손실
- 문제해결 : 다시 진폭(volt)을 증가시켜주는 기기를 중간에 배치 = Amplifier(증폭기)
- 공식 : 10 * log₁₀P₂/P₁ (P₂ - 수신한 쪽 P₁ - 송신한 쪽) 단위 : decibel(dB)
2) Distortion
- 신호의 형태가 일그러짐
3) Noise (잡음)
- 잡음은 항상 존재
- 공식 : SNR = S/N (신호/잡음)
SNR㏈ = log₁₀(S/N)
① Thermal noise - 열잡음 (due to random motion of electrons)
: 전자의 랜덤한 이동 때문에 열이 발생
② Induced noise - 유도잡음 (due to motors and appliances acting as antennas)
: 모터나 가전 제품에 있는 것들이 안테나로 적용해서 방해
③ Crosstalk - 혼선 (between wires acting as antennas)
: 나란히 가는 전선에서 전자파의 발생에 의해 발생
④ Impulse noise - 충격잡음(due to a sudden spike from power line or lightning)
: 번개나 갑자기 높은 전압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발생
Data Rate Limit
1) 전송률 (얼마나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가)
- bit per second에 영향 주는 요소
① 주파수의 대역폭
② 신호의 level(레벨)
③ 신호의 품질 (잡음의 수준)
- 데이터 비율을 계산하는 2가지 공식
① 잡음이 없는 채널 - 현실세계 존재 X
② 잡음이 있는 채널
Two theoretical formulas
단위 : bps
1) Noiseless Channel : Nyquist Bit Rate
BitRate = 2 * bandwidth(사용가능한 주파수 대역폭) * log₂ L (L : 신호 레벨)
- 레벨이 증가하면 전송률은 높이지지만 통신 시스템의 신뢰성은 감소 (잡음의 간섭이 심해짐)
- 우리가 필요한 레벨을 계산 할 수 있다.
2) Noisy Channel : Shannon Capacity
Capacity = bandwidth(Hz) * log₂ (1 + SNR)
- 잡음이 매우 강하면 어떤 신호도 전송 받을 수 없다
- 사용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을 증가시키거나 SRN을 증가시키면 전송률이 높아진다
- 데이터 전송률의 상한을 계산 할 수 있다.
performance metrice (성능의 척도)
① Bandwidth
- 주파수대역폭(Hz) 또는 전송률(bpd)로 쓰인다.
- 사용가능한 주파수대역폭 늘리면 전송률도 늘어남
- 이론 측정치
② Throughput (처리양)
- 실제로 네트워크를 통해 얼마나 빨리 보낼 수 있는지
- 실제 측정치 (이론 측정치의 1/5)
- 공식 : (프레임수 * 각 프레임당 비트 수) / 60 // 이론 측정치 무시
③ Latency (delay) (지연시간)
- 첫번째 비트가 출발할 때부터 마지막 비트가 도착한 시간
- Propagation time (전달 시간)
: 각각의 비트가 송신기에서 출발해서 그 비트가 수신기에 도착한 시간 => 거리에 비례
거리/전달속도
- Transmission time (전송 시간)
: 첫번째 비트가 송신기에서 출발할때부터 마지막 비트가 출발할 때까지의 시간 => 비트의 양, 데이터 크기에 비례
데이터 크기(바이트 * 비트 수) / 전송률
- Queuing time (대기 시간)
: 중간 대기 시간
- Processing time (처리시간)
: CUP가 처리하는 시간
④ Bandwidth-delay product
- Bandwidth * Delay = bits
- 통신선을 채운 비트들의 개수
⑤ Jitter (지터)
- 패킷의 도착시간에 대한 변화
- 변화가 같으면 jitter는 0, 패킷이 넓은 간격으로 왔을 경우 +, 패킷이 짧은 간격으로 왔을 경우 -
- 서비스 품질을 나타내는 척도
'Computer > Data communic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. Data Transmission (0) | 2021.10.28 |
---|---|
1. Network Models (0) | 2021.10.11 |
0. Introduction 3 (0) | 2021.10.11 |
0. Introduction2 (0) | 2021.10.11 |
0. Introduction1 (0) | 2021.10.11 |